제빵왕초코빵

기혼여성 10명중 4명 “자녀양육 부담에 출산 중단”

일상정보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 수도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 수도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때문에 자녀 수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난 셈이다.


◇소득 높을수록 출생아수도 많아
19일 통계청의 '소득과 자산에 따른 차별 출산력'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 출생아 수는 가구 소득과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많아졌다.

2003~2009년 7년간 배우자가 있는 35~44세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1분위 1.77명, 2분위 1.88명, 3분위 1.95명, 4분위 1.99명, 5분위 2.02명으로 나타났다.

소득 5분위는 소득에 따라 전체 가구를 20%씩 구분한 것으로

 1분위가 소득이 가장 낮은 20% 가구이며, 5분위가 가장 높은 20% 가구를 뜻한다.

상대적 소득분위 뿐 아니라 소득의 절대규모와 출생아 수도 비례했다.


2003-2009년에 배우자가 있는 35-44세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가 1.72명으로 가장 적었고,

500만원 이상 가구가 2.02명으로 가장 많았다.

2009년 기준으로 살펴보면 100만원 미만은 1.79명,

 200~300만원 1.97명, 500만원 이상은 2.00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증가할수록 한 자녀 비율은 감소하고

 두 자녀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9년 배우자가 있는 25~44세 여성의 소득분위별 자녀 수 구성비를 보면 

한 자녀 비율은 1분위 27.0%, 2분위 27.5%, 3분위 24.3%, 4분위 23.4%, 5분위 18.5%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두 자녀 비율은 

1분위 45.1%, 2분위 49.6%, 3분위 55.4%, 4분위 57.1%, 5분위 61.8%로 

소득 수준과 비례해 늘었다.


그러나 세 자녀 이상 다자녀가구 비율은 소득에 따른 뚜렷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2003년과 2009년의 자녀 수를 비교해보면 무자녀와 한 자녀 비율이 증가하고, 

두 자녀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무자녀 비율은 2003년 7.5%에서 2009년 8.2%로,

 한 자녀 비율은 20.8%에서 22.9%로 늘었고, 

두 자녀 비율은 60.5%에서 56.6%로 감소했다.


특히 1분위 가구의 두 자녀 비율 차이가 12.0%포인트(57.1%→45.1%)로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남편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많았으며 

부인의 소득과 자녀 수의 관계에서도 부인의 소득 자체보다는

 남편의 소득이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25~44세 여성의 평균 자녀 수를 남편 소득과 비교한 결과 

남편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면 1.71명, 500만원 이상은 1.90명이었다.

 반면, 가구내 부인의 소득이 높아질수록 대체로 평균 자녀 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남편의 소득구간에 따라 차별적인 양상을 보였다.

 
◇ 자산 규모 커질수록 많이 낳아
가구의 자산 규모가 커질수록 평균 출생아 수가 많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33~34세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가장 소득 수준이 높은 5분위가 2.00명으로 가장 많았고

 1.2분위는 1.78명과 1.75명에 불과했다.

총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의 경우도 순자산 규모가 증가할수록

 평균 출생아가 증가하는 성향을 나타냈다.

35~44세의 평균 출생아 수는 5분위가 1.98명으로 가장 많았고

 1.2분위는 1.82명과 1.74명이었다.

또한 모든 연령대에서 자가 가구의 출생아 수가 전월세 가구보다 많았다.

25~44세의 경우 자가 가구의 출생아 수가 1.90명, 전월세 등은 1.68명이었으며, 

35~44세는 자가 가구가 2.01명, 전월세 등이 1.87명이었다. 

이는 주거의 안정이 출산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다.


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에 따르면 

15∼49세 기혼 여성의 평균 자녀 수는 1.75명이었다. 

이 중 지난해 2분기(4∼6월) 기준 전체 월평균 가구 소득의 60%(256만2000원) 미만을 

버는 가구의 평균 자녀 수는 1.63명이었지만

 160%(683만2000원) 이상을 버는 가구의 자녀 수는 1.84명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가구 소득 60∼80% 미만의 평균 자녀 수는 1.69명,

 80∼120% 미만은 1.77명, 120∼160% 미만은 1.79명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10월 국내 1만2000가구를 대상으로 

기혼 여성 1만1009명과 미혼 남녀 2383명을 방문 면접한 결과다.


기혼 여성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 수는 평균 2.25명이었지만

 현재 자녀와 앞으로 추가로 낳을 계획이 있는

 자녀를 더한 기대 자녀 수는 평균 1.94명에 그쳤다. 

주된 이유는 경제적 부담이었다. 

기혼 여성 중 남편과 이혼하거나 사별한 사람을 제외한

 유배우 여성 10명 중 4명은 출산을 중단한 이유로

△자녀 교육비 부담 (21.8%) 

△자녀 양육비 부담(12.4%) 

△소득·고용 불안정(6.9%) 

△자녀 양육을 위한 주택 마련 어려움(0.9%) 등 

경제적 이유를 들었다. 


이는 자녀가 성인이 된 뒤에도 부모가 보살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한국 사회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기혼 여성 10명 중 9명(89.6%)은 자녀가 성인이 된 뒤에도 책임져야 한다고 답했다.

미혼 남녀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미혼 남녀 2383명 중 17.5%는 출산을 원하지 않거나 자녀 1명만 낳겠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자녀 교육비 부담’(24.7%)과 ‘자녀 양육비 부담’(24.4%)이 1, 2위로 가장 많았다.